안녕하세요, 잉어초밥입니다.
개인적인 입장입니다만, 전 반사이가 싫습니다.
말투가 통일되지 않아서 번역이 어렵기 때문입니다.
그냥 다 사극식 말투로 통일해버릴까도 생각해봤지만
그게 또 반대로 이상한 장면도 있어서 곤란합니다.
반사이의 말투에 대해서는 보시면서도 이랬다 저랬다 하는 것이 느껴지실 것이라 생각됩니다만,
얼마 안 남았으니(의미심장) 참고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또한, 오프닝 및 엔딩의 노래방자막을 추가하였습니다.
어떤 노래가 됐든 노래방자막을 하면서 수십 번은 듣기에
노래가 좋든 안 좋든 나름 괜찮은 곡이라고 세뇌가 되는 것 같습니다(..)
그럼, 즐감하시길.
영상은 Ohys Horrible 릴입니다.
하나, '긴상' 및 '긴짱'은 각각 '긴토키 씨'와 '긴토키'로, '카구라짱'은 '카구라'로, '팟상(신파치를 긴토키가 부를때)'은 '파치야'로, 하지만 '~~군' 만은 그대로 '~~군'으로 번역하겠습니다. 또한 '해결사 긴짱' 또한 '해결사 긴토키'로 번역합니다. 그 외 예외의 경우엔 그때그때 포스팅으로 알리겠습니다.
둘, 패러디요소에 관해서 입니다만, 너무나 널리 알려진 패러디, 예를 들어 원나블 및 드래곤볼 등등의 요소들이 나올 경우엔 따로 패러디설명을 하지 않겠습니다. 하지만 개중에서도 특정 인물을 가리키는 패러디는 표시합니다. 그러나 유명하지도 않은데 무언가의 패러디같은 부분이지만 추가설명이 없다면, 그건 제가 그 패러디를 모르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. 아시는 분은 언제든지 댓글을 통해 수정 및 추가부분의 지적을 해주시기 바랍니다.
셋, 은혼의 캐릭터 다양성의 특성상, 캐릭터가 사투리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. 되도록이면 사투리로 번역을 하겠으나, 우리나라의 사투리를 잘 모르기에 때때로 부자연스럽거나 표준어로 돌아와버리는 경우도 존재합니다. 이런 표현이 더 나아보인다거나 잘못된 부분을 발견하신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지적해주시기 바랍니다.
넷, 전 원본의 대사를 그대로 번역하는 것보다 인역이 섞이고 한국말로 다듬은 표현들을 선호합니다. 대표적인 예로, 「이거일 게 뻔하잖아.」라는 직역이 있다면 「당연히 이거잖아」와 같이 번역합니다. 또한, 말장난같은 경우에도 될 수 있다면 초월한글패치를 거치려 합니다. 정 좋은 표현이 떠오르지 않을 때에는 원본을 그대로 쓰거나 은혼 정발판에 실린 표현을 채용합니다. 그리고 원본과는 다른 말장난들은 포스팅에 원본과 번역본을 써놓겠습니다. 이 점, 양해 바랍니다.
다섯, 배포는 자유되, 상업적인 이용 금지 및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. 수정 전의 자막이 실려있는 블로그에 방문하시는 분들이 아무런 필터도 없이 제 미흡한 수정 전의 자막을 제공받는 것을 원치 않습니다. 배포까지 막을 권리는 제게 없습니다만, 방문자분들이 항상 최신의 자막을 접하실 수 있도록 출처주소정도는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자막 감사합니다 은혼은 스폰서와 노스폰서에 차이가 있나요?
답글삭제은혼은 특히 스폰서와 논스폰서로 나눠서 자막을 만드는 이유가 있는데요,
삭제은혼은 스폰서 광고창에서 화면 양쪽에 코멘트가 달려있습니다.
논스폰서에선 이 장면이 나오지 않죠.
은혼만의 정체성같은 느낌도 드는 장면이라 제 개인적으론 놓치고 싶지 않은 부분이네요.
자막 감사합니다 ㅎㅁㅎ
답글삭제
삭제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.
감사합니다.
답글삭제
삭제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.
항상 감사드립니다.
답글삭제항상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.
삭제자막 감사합니다!
답글삭제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.
삭제